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탄력성이란? 의미와 공식, 수요의 가격탄력성 탄력성이란? 의미와 공식, 수요의 가격탄력성 노무사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탄력성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 공식,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시험 범위로는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소득탄력성, 수요의 교차탄력성, 공급의 가격탄력성, 그리고 거시에서 투자의 이자율 탄력성, 화폐 수요의 소득 탄력성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 이렇게 세 개까지 총 7개의 탄력성을 노무사 1차 시험 범위 입니다. 의미 경제학은 사회과학 학문으로 인간의 돈을 쓰는 활동에 대해서 정교화시킨 것이 경제학입니다. 우리가 이전에 있었던 물리학적 개념을 가져왔습니다. 탄력적이란 것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탄력성의 의미는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기본적으로 원인.. 2023. 3. 2.
잉여과 가격통제, 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 잉여와 가격통제, 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 한 때 잉여 인간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면서, 사회에서 쓸모가 없는 사람,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을 잉여 인간이라 지칭하기도 했는데요. 그래서 잉여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어감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잉여라는 말은 경제에서는 좋은 뜻입니다. 추후에 자원이 부족했을 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부는 축적될수록 좋은 것이라는 관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잉여란? D는 최대 지불 용의, S는 최소비용의 약자입니다. 예를 들어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회가 먹고 싶습니다. 10만 원의 지불용의를 가지고 있었는데 12만 원을 부르면, 살 수 없겠죠. 그런데 옆에서는 8만 원에 판매한다고 합니다. 시장가격이 8만 원이니, 소비자 잉여는.. 2023. 2. 23.
시장 균형의 이동 :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른 변화 시장균형의 이동 :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른 변화 노무사 등 자격증 경제학 시험에 반드시 출제되는 부분입니다. 수요와 공급에 따른 가격과 거래량의 변화, 그리고 총수입의 변화를 알아봅니다. 수요만 변동되었을 때와 공급만 변동되었을 때, 그리고 둘 다 변동되었을 때로 나누어 정리하겠습니다. 문제는 앞에서 배운 수요 측 변동 요인, 그리고 공급 측 변동 요인과 연결 지어 이해해야 합니다. 1) 수요만 변동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은 상승하고 거래량은 증가합니다.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은 떨어지고 거래량도 감소합니다. 정리하면 수요와 가격, 거래량은, 수요가 증가하면 다 증가하고 수요가 감소하면 다 감소합니다. 추가적으로 TR(Total revenue)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총수입, 매출액이라고도 하는데요. 가.. 2023. 2. 22.
시장가격의 결정 : 가격의 종류와 시장의 균형, 거미집이론 시장가격의 결정 : 가격의 종류와 시장의 균형, 거미집이론 가격의 종류 Px, Py는 절대 가격입니다. Px/Py일 경우 분자를 읽으면 됩니다. 즉 X재의 상대가격이라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Px=100, Py가 200이라면, X재의 상대가격은 100/200 즉, 1/2로 표현할 수 있고, Y재 반 개가 됩니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w/r이 있는데요. w는 임금, r은 이자이고 분자의 상대가격으로 읽으니, 노동의 상대가격이라고 알 수 있습니다. 잠재가격이란 시장이 불완전할 때 쓰는 가격의 종류를 의미하는데, 재정학에서 가격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을 때 예측치를 씁니다. 가각의 시장에서의 가격은 노동 시장의 가격은 임금, 자본 시장에서는 이자, 토지는 지대, 외환시장의 가격은 환율입니다. 시장의 균형.. 2023.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