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순환 그리고 경제학의 기초

by 2지원 2023. 2. 9.
반응형

 오늘은 경제순환 그리고 여기에 더해 경제학의 기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순환이 가장 중요하고, 경제학의 기초에서는 효율성과 공평성,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그리고 인과의 오류와 구성의 오류, 실증 경제학과 규범 경제학에 대하여 정리하겠습니다.

 

경제순환

 경제순환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실물의 흐름(실제 물건의 흐름)과 화폐의 흐름(돈의 흐름)입니다. 물건은 공급자가 결정하며, 돈은 수요자가 결정하는 것입니다. 생산물 시장의 예시로 마트를 들어 보겠습니다. 기업이 상품을 만들어 마트에 공급하고 개인이 화폐를 제공하여 그 상품을 구매합니다. 즉 생산물 시장에서 공급자는 기업, 수요자는 가계가 됩니다. 반면에 생산요소 시장은 생산요소를 공급하는 주체가 가계가 됩니다.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을 생각하면 당연한 내용입니다. 가계에서 생산요소를 공급하고 그 대가로 임금이나 이자, 지대나 이윤 등을 화폐로서 받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요소를 실물 혹은 서비스로서 구입하고, 그 대가로서 화폐를 가계에 지급하는 구조가 됩니다. 즉, 1. 생산물 시장은 재화와 서비스, 생산요소 시장은 노동, 자본, 토지를 거래하는 시장입니다. 2. 공급자는 실물을, 수요자는 화폐를 제공한다. 3. 생산물 시장의 공급자는 기업, 수요자는 가계, 생산요소 시장의 공급자는 가계, 수요자는 기업입니다. 이 분에서는 전반적인 단어의 의미, 그리고 생산물 시장과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경제학의 기초 01

 효율성과 공평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효율성 두 가지 의미입니다. 최소 투입에 최대 산출, 목표의 달성 정도 이렇게 두 가지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한 사회가 얼마나 낭비가 없고 잘 만들어지고 있느냐 이러한 의미인데, 파레토 효율성을 이야기합니다. 효율성은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공평성은 평등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경제학에서는 공평성에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소득 분배 지표를 제외하고는 거의 효율성에 관한 이야기로 생각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두 번째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인데요. 부분균형분석은 '다른 부분이 일정하다면'을 의미합니다. 여기서의 모형은 어떤 한 변수를 움직인다면 다른 변수를 건드리지 않는데, 이런 것들을 바로 부분균형분석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이 그렇습니다. 일반균형분석은 A라는 시장이 B라는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예를 들어 생산물 시장이 생산 요소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이런 부분인데요. 여기서 파레토 효율성을 공부할 때 나옵니다. 파레토 효율성은 미시 경제를 다 배우고 나서 끝부분에서 공부하게 됩니다.

 

경제학의 기초 02

 세 번째로 인과의 오류와 구성의 오류가 있습니다. 인과의 오류란 어떤 현상이 마치 서로 원인과 결과처럼 보이는 겁니다. 실제로는 그게 아닌데 그렇게 보이는 것. 대표적인 예시로 징크스가 있습니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속담에도 있죠. 구성의 오류는 부분은 합리적이나, 전체는 비합리적인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저축의 역설이 있습니다. '저축을 하려고 소비를 줄였더니 재고가 쌓이고 생산이 줄어서 사람들의 소득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사람들의 저축도 줄어들었다.'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네 번째로 실증 경제학은 증명, 규범경제학은 가치를 담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의 경제학은 대부분 다 실증 경제학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증가하면 실업률은 떨어지더라.' 이러한 것들은 조사해서 얻은 것입니다. 규범 경제학은 '자본주의가 좋다, 사회주의가 좋다' 이런 것을 이야기하는데요. 좋다는 말 자체가 가치를 부여한 것입니다. 그래서 실증은 실제로 증명한 것, 규범은 가치를 담은 것입니다.

 

 노무사 시험에서는 효율성과 공평성, 인과의 오류와 구성의 오류만 가끔 언급이 됩니다. 경제이론의 표현은 서술식, 말로 표현하는 것, 수리식, 숫자로 표한한 것, 기하학적 방법,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시험공부에 있어서는 서술식 표현이 가장 중요합니다. 간혹 개념은 이해한 것 같으나 문제 풀이가 잘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서술식 표현을 잘 공부하면 그러한 부분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