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 수요량과 수요의 변동
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또한 수요량과 수요의 변동에 대해서 알아보고 수요량 변동의 요소와 수요 변동의 원인을 각각 나누어 정리하겠습니다. 수요량의 변동 은 가격과 연관이 있으며 그래프에서 점의 이동으로 나타납니다. 수요 변동에는 가격 이외의 요소가 작용하며 그래프에서는 선의 이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
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이 있습니다. 개별수요곡선이란 개별 소비자 별로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시장 수요곡선은 그 사람들이 모인 시장에서의 가격과 수요량의 그래프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라는 사람이 있고, 시장이 있습니다. A는 100원 가격에 1개, 50원 가격에 2개를 구매할 의사가 있습니다. B는 100원에 1개, 50원에는 3개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시장에서 보면 A, B모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100원에 2개, 50원에 5개라는 수요량이 나옵니다. 이 경우는 시장수요곡선은 개별수요곡선의 수평합이 됩니다. 수평합은 Q의 합, 주어진 그래프의 가로축의 합을 의미합니다.
Q(A)=10-P + Q(B)=10-P → Q(시장)=30-2P
여기서는 Q(A)와 Q(B)의 합이 2Q가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는데요. A와 B의 평균값을 Q(시장)으로 나타냈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수요량과 수요
수료량과 수요가 있습니다. 수요량은 점입니다. 특정 가격에서 사고자하는 특정한 수량입니다. 그래프로 나타내면 수요 곡선 위에 한 점인데, 이 점은 2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로축에는 가격이라는 정보가, 가로축에는 수량이라는 정보가 있습니다. 반면에 수요는 선입니다. 모든 가격 수준에서 사려고 하는 수량을 모아둔 것입니다. 따라서 수요량의 변동은 A점에서 B점으로, 점의 이동입니다. 수요량의 변동이라는 단어를 쓰기 위해서는 해당 시장의 해당 가격이 변해야 합니다. 수요의 변동은 선의 이동입니다. 선의 이동에서는 가격은 아무 데나 설정을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가격은 같은데 수량이 증가했을 경우 가격이 변동해서 이동한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변했을까요? 다른 원인이 변했을 것이라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소득, 인구, 기호, 대체제의 가격, 보완재의 가격이 있습니다. 수요가 증가했다는 것은 선이 우측으로 이동한 것, 감소는 좌측입니다.
수요 변동
정상재와 열등재가 있습니다. 교차 탄력성에서 다시 나오는 내용인데요. 소득이 올라갔을 때 수요량이 같이 따라 올라가거나, 소득이 떨어졌을 때 수요량도 같이 감소하는 것을 정상재라고 합니다. 인구는 동일한 가격에 판매를 하더라도 그러한 사람들이 많이 모이면 시장 수요량이 증가할 수 있겠죠? 그래서 같이 증가합니다. 기호는 사전적 의미로 즐기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기호가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하고, 기호가 감소하면 수요가 감소합니다. 여기서부터 치킨을 예시로 들겠습니다. 치킨의 대체제는 피자가 있을 텐데요. 대체재 가격이 오르면? 피자가 가격이 올라가면 치킨의 수요량이 늘 것입니다. 대체제 가격이 올라가면 정상재 수요도 증가할 것입니다. 보완재는 함께해서 만족감이 높아지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맥주라고 보면, 맥주 가격이 하락했을 때 치킨 수요량이 늘 수 있겠죠. 마지막으로 미래가격의 예상이 있습니다. 미래 가격이 오를 거라고 예상하면 수요량이 늘 것이고, 내릴 거라고 예상한다면 지금 수요량이 감소할 것입니다.
마무리 Key Point
1. 수요는 가격과 수량의 관계로도 읽지만 최대 지불 용의로도 읽습니다.
2. 개별 수요곡선은 합하면 시장 수요곡선이 되고, 공식으로도 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수요량은 특정 점, 수요는 선 자체를 이야기합니다.
4. 수요량의 변동은 가격이 변했을 때 수량의 변화, 점의 이동입니다.
5. 수요의 변동은 가격은 똑같기 때문에, 가격 이외의 요소가 변하는 것입니다.
- 소득, 인구, 기호, 대체제의 가격, 보완재의 가격, 미래가격의 예상 등이 있습니다.
- 증가하면 우측 감소하면 좌측으로 갑니다.
댓글